Tagged

Infrastructure

인프라스트럭쳐에 대한 글입니다.

라즈베리 파이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MetalLB와 nginx-ingress를 설치해보자.
K8s

라즈베리 파이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MetalLB와 nginx-ingress를 설치해보자.

MetalLB?MetalLB, bare metal load-balancer for Kubernetes라즈베리 파이 클러스터 (어떤 관점에선 베어메탈)에 Load Balancer를 사용하기 위한 가장 심플한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. 설치Helm 차트를 이용하여 클러스터에 MetalLB를 배포한다. Helm 레포를 추가하여 MetalLB를 설치할 준비. helm repo add metallb https://metallb.github.io/metallb helm repo update 그리고 Cluster가 속해있는

etcd 클러스터를 aws에 terraform으로 만들기
AWS

etcd 클러스터를 aws에 terraform으로 만들기

GitHub - byunjuneseok/aws-ec2-etcd-cluster-with-terraform: Provision EC2 etcd cluster with terraformProvision EC2 etcd cluster with terraform . Contribute to byunjuneseok/aws-ec2-etcd-cluster-with-terrafor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GitHubbyunjuneseokTerraform으로 작업한 etcd cluster 코드사실 별 엄청난 것을 한 건 아니고, etcd 내부 구경할 겸 EC2 etcd 클러스터를 만들어봤다. 간단하게 terraform.tfvars.example 을

M1 바이너리가 제공되지 않는 테라폼 프로바이더 빌드해서 쓰기 (hashicorp/template)
golang

M1 바이너리가 제공되지 않는 테라폼 프로바이더 빌드해서 쓰기 (hashicorp/template)

terraform init 실패한다.테라폼을 m1 맥북으로 사용할 때 가끔, arm64 다윈 커널용 바이너리가 없어서 terraform init 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. 내가 최근에 겪은 hashicorp/template 의 경우로 해결하는 짧은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. What is the "Provider"?Home - Plugin Development - Terraform by HashiCorpLearn about developing plugins that connect Terraform

Infrastructure as Code 를 읽고나서 (1)
Infrastructure

Infrastructure as Code 를 읽고나서 (1)

대규모 인프라 운영에 사람의 수작업을 최소화하려면 결국 자동화만이 해답이다. 자동화는 곧 스크립트나 소프트웨어의 영역이라는 점에서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자라면 어쩔 수 없이 개발 세계를 기웃거릴 수 밖에 없게 된다. 계발 세계의 초기 진입 장벽을 고려하려면 개발자가 인프라 운영을 배우는 게 더 나아보이기도 한다. 어쨌든 인프라 운영자는 자동화를 위한 최소한의 개발 능력과